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주관하는 2022년 데이터바우처 지원 사업을 소개 드려요!
총 1,241억 원의 예산으로 2,680건의 바우처를 지원하는 사업으로, 데이터 구매 / 가공 / AI 부문을 지원합니다.
샤플은 세 분야 중 데이터 구매에 대한 설명을 드려요. (샤플을 데이터 구매 분야에서 구매하실 수 있기 때문이죠😎)
아울러 매장 관리와 매장 이슈를 데이터화 하고 싶으신 기업 담당자, (예비) 사장님이라면 샤플을 데이터바우처로 구매하실 수 있으니 놓치지 마세요!
데이터바우처는 데이터 바우처 지원을 통해 데이터의 수요 및 공급 생태계를 꾸려나가기 위한 지원 사업이에요. 전 산업의 디지털 기반의 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어요.
최대 1,600만 원을 지원하며, 기업 규모에 따라 정부 지원 부담률이 달라져요. 중소기업은 80%의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아래에서 한 번 살펴볼게요!
|
초기 중견기업·중소기업·소상공인
|
청년기업
|
예비창업자
|
중앙부처·지자체 공공연구기관·대학 연구팀·병원
|
정부 지원금
|
80%
|
90%
|
100%
|
100%(사회 현안 해결 부문 대상)
|
데이터바우처 구매 부문은 22년 3월 28일인 월요일 18시까지 신청 가능해요.
신청 접수는 데이터바우처 사업관리시스템인 PMS을 통해 접수를 하고, 수요기업으로 선정될 시 올 6월부터 11월 30일까지 지원을 받으실 수 있어요.
수요기업은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적격성 검토와 선정 심사를 받게 되는데요. 지원 요건에 부합하고 사업성이 우수한 기업을 선정한다고 합니다.
①적격성 검토
|
▶
|
②선정 심사
|
▶
|
③매칭 심사
|
▶
|
④평가 결과 공고
|
신청요건 및 자격 검토
|
전문분야 적합성 및 사업혁신성 평가
|
수요에 적합한 가공서비스 평가
|
평가 결과 발표 및 협약 실시
|
|||
K-DATA
|
평가위원회
|
평가위원회
|
K-DATA
|
데이터바우처는 공급기업과의 과제 협의를 진행하게 됩니다. 구매 분야를 신청하시는 수요기업의 경우 신청 접수 전 과제협의서나 견적서를 제출할 필요는 없지만, 접수 전 원하시는 서비스와의 과제협의가 필요합니다. 서비스 홈페이지별로 과제협의에 대한 상담을 받아 보시면 좋겠죠?
데이터바우처 지원 사업, 정리하면 이렇습니다.
매장 관리에 최적화된 현장 직원 협업툴 샤플이 궁금해지셨다면? 아래에서 샤플 기능을 확인하세요!
🔹협업툴로 서비스 우수사원을 선정하고 소식을 공유하는 방법
🔹매장 VMD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(할 일 부여 / 작업 재요청 / 업무 피드백)
또 다른 정부 지원 사업도 확인해 볼까요?
댓글 영역